감북동 지명유래
시민 여러분들께 감북동 지명 유래를 알려 드립니다.
가무나리

이 마을에는 가물어도 마르지 않는 샘우물이 있다. 이 샘우물을 황새우물 또는 감천(甘泉)이라고 하는데 물맛이 달고 시원하다고 한다. 따라서 달 ‘감(甘)'자를 써서 감물이라 했으며, 당연히 감물이 있는 논들을 감물나리라 부르게 되었고, 감물나리 → 가물나리 → 가무나리의 어원변화에 의해 마을의 지명이 되었다고 보여진다. 밀양 박씨(密陽朴氏)와 광주 안씨(廣州 安氏)의 집성촌이다.

  • 안골안쪽에 있는 마을이라 안골이라 한다.
  • 샘밖골샘밖골은 심밖골이라 부르고 있다. 샘이 전혀나지 않는 곳이라 샘밖의 마을이라 하는 말도 있다. 이곳에는 이종생 (李從生)의 묘가 있다.
  • 횟걸마루이곳은 석회석이 많이 나던 곳으로, 석회를 굽는 가마터가 있었으며 생석회를 만드는 곳이었다.
  • 윗말안촌을 부르는 말이다.
안촌(安村)

안촌은 가무나리의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주 안씨의 집성촌이므로 안촌이라는 지명이 되었다고 한다.

  • 매봉재산의 형상이 매가 날개를 펴고 있는 모습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 황새우물암물·숫물 2곳의 샘우물을 말한다. 현재 암물은 있으나 숫물은 메워졌다. 이 두우물을 보고 감천(甘泉)이라고 한다. 또한 물이 검푸르다고 하여 검을 '현(玄)'자 를 써서 현천 (玄泉)이라고도 하였다 한다.
  • 고낙골골이 깊고 짧은 골짜기이며 이곳에서 매를 길렀었다는 말이 있다.
  • 아랫말가무나리를 이르는 명칭이다. 그 외에 사당골·서낭당·수눅골·몽골·안경자리·안산·다리목 자리·뒷골·우묵골 등이 있다.
갈미

갈미마을은 감천리의 아래쪽 즉, 꼬리부분에 위치하였다 하여 감미(甘尾)마을이라고 불리던 것이 갈미로 변했다고 『하남의 역사』에 나와있다. 갈미는 칡 ‘갈(葛)'자와 쌀 미 (米)'자를 쓴다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 마을의 땅은 가뭄에도 경작할 수 있을 만큼 비옥하여 쌀의 질이 상품(上品)이었다고 하여 생긴 지명이라 볼 수 있다. 칡 ‘갈(葛)'자에 꼬리 ‘미(尾)'자로 쓴다는 사람도 있다. 이 마을 석니골 사이의 산에는 오래된 수호목인 영서나무가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고사되어 없어졌다. 밀양 박씨(密陽朴氏)의 집성촌이다.

  • 양지말햇빛이 잘드는 양지바른 마을이다.
  • 응달말(건너말)양지말 건너편에 있는 마을로서 응달이 지는 마을이다.
  • 넘말너머에 있는 마을이다.
  • 두리봉두리봉에 올라보면 마을 전체를 볼 수 있는 바위가 있다고 한다. 광암동 너븐바위(넓은바위)와 연관된 전설이 있다고 하나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 숫산 이 산에는 옛날에 망부석이 있었다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망부석이 바라보고 있는 마을의 부녀자들은 바람이 난다고 하여 마을사람들이 이 망부석을 쓰러뜨려 놓았는 데 세워 놓으면 또 그런 현상이 나타났다고 한다. 그후 어느 해인가 이 망부석은 없 어졌다. 그 외에 사당골·서낭당·수눅골·몽골·안경자리·안산·다리목 자리·뒷골·우묵골 등이 있다. 그 외에 석니골·갈미골·사래고개·갈미고개 등이 있다.
배다리

『하남의 역사』에서는 배다리를 밝달 → 밝다 → 배달이라고 하여 신성시 되던 곳이라고 하며, 『경기도 지명유래집』에서는 여러 개의 배를 연결하여 다리를 놓아 건너다녔다는 데에서 배다리라부르게 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지금은 판교∼구리간 중부고속도로의 서하남인터체인지가 있다. 은진 송씨(恩津宋氏)의 집성촌이다.

행길가

감북동사무소가 있고 서부초등학교가 있는 마을로 길가에 마을이 있다 해서 행길께 또는 행길가라고 부른다.

새마을

피난시절 정착한 마을로서 신촌(新村)이라 하던 것을 우리말로 고쳐서 새마을이라 한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편의성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담당자 정보

  • 정보관리 감북동 행정복지센터   행정민원팀
  • 전화번호 031-790-6608
  • 최종수정일 2024.02.13.